기자님 글을 보고 난 후, 바로 책(친절한 R with 스포츠 데이터)을 사서 열공중인 직딩입니다.
책을 읽어가던 중 오타로 추정(?)되는 것을 발견하여 신고(?)하려고 글 남깁니다.
99페이지 상단에, 출루율을 구하는 공식이 있는데, 분모에 "안타"가 있더라구요.
"안타"가 아닌, "타수"가 맞는 것 아닌지 여쭤봅니다.
아래에,
obp = (h + bb + hbp) / (ab + bb + hbp + sf) 라고 코딩은 되어 있어요.
나중에 추가로 책을 인쇄하실 계획이 있는 경우 고려 바랍니다.
호옥시 제가 잘못 알고 있다면, 방념해주세요.
열공해서 얼른 알린이에서 벗어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저는 회사 인사팀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입니다.
최근에 조직진단을 실시해서 결과를 받았는데 응답률이 조직별로 다르지만 40~50%에 불과합니다.
막연한 느낌에 2,500명에 40% 응답이라면 그 값을 대표값으로 써도되겠지만
10명, 20명, 40~50명 등 인원수가 작은 조직의 경우에도 대표값으로 써도될지 걱정이 되어
이것 저것 찾아보다가 모집단 크기와 샘플 수를 활용하여 오차범위를 구하는 공식을 알게 되었습니다.
공식 : e = Z * sqrt{ (p*(1-p)*(N-n) / n(N-1) }
N=모집단 크기, n=샘플수 , Z=1.96 , P=0.5
해당 공식에 모집단의 수(해당 조직 총인원)과 표본수(설문에 응답한 인원)을 넣어
조직별 오차범위를 구하는 것 까지는 했는데
이 오차범위로 신뢰구간을 구하는 방식을 모르겠습니다.
예를 들어
공식에 따르면 모집단 100명 조직에 80명이 응답한 경우 오차범위는 4.9%입니다.
해당 조직의 만족도 평균 점수는 3.2(5점 척도)인데
3.2를 100점만점으로 환산하면
(점수-1)*25으로 계산하여 55점입니다.
55점에 대해 오차범위 4.9%를 표시한다면
55점*(1-4.9%) ~55점*(1+4.9%) = 52.305 ~ 57.697 인지
55점-100점*4.9% ~ 55점+100점*4.9% = 50.1 ~ 59.99 인지 궁금합니다.
아무리 찾아도 선거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 3.1%면
앞뒤로 3.1%씩 빼고 더해서 신뢰구간을 구하는 예시만 있고
지지율과 같은 %값이 아닌 경우는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찾지못해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 R 네트워크 연결망 관련하여 질문있어서 방명록에 글 남깁니다 ㅎ
질문하고자 하는 내용을 가수-피쳐링 데이터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csv 파일 내 From열, to열 이렇게 2개의 열이 있는데
예를들어 여기에 2차 연관어로 3번째 열(to_2)을 추가하려면 코드를 어찌 구성해야 할까요? 해당 페이지에 올라온 코드로는 From, to 2개 열만 인식되는 것 같아서요
안녕하세요 키니님, 평소에 블로그를 통해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제가 R로 만든 인터렉티브 지도를 HTML을 통해 제가 만든 웹사이트에 게시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셨는지 그리고 어떻게 코드를 짜야되는지 여쭙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