聰明不如鈍筆
총명불여둔필
assignment Common Sense

북한 그리고 피휘


연일 쏟아지는 북한 뉴스를 보다가: 복 도(祹)라는 한자가 있다. 복 복(福)하고 뜻이 같은데 네이버에 이 글자를 검색해 보면 세종대왕하고 관련한 콘텐츠만 뜬다. 세종대왕 이름(휘)이 '이도'이기 때문. 정조를 '이산'이라고 부를 때 산은 셈 산(算)과 사실상 같은 글자인 산(祘)이다.

쉬운 글자를 놔두고 이렇게 보기 드문 한자를 쓴 건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않는 '피휘(避諱)' 전통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길 이름도 '이순신로'가 아니라 '충무로'처럼 부른다. 또 우리가 부모님 성함을 '황 ○자 ○자'처럼 부르는 것 역시 피휘다. 

왕 이름은 그 어떤 곳에서도 쓸 수 없었다. 당 태종이 이세민(李世民)이었기 때문에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은 관음보살이 됐다. 이 때문에 조선시대 왕조에서는 사람들이 잘 쓰지 않는 글자를 일부러 골라 이름을 지은 것이다. 그래야 사람들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북한에서는 여전히 이 전통을 지킨다. 북한에는 김일성은 물론 '일성(日成)'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도 없다. '정일(正日)'이도 마찬가지. 그런데 조상하고 이름에 같은 글자를 쓰지 않는 것도 분명 피휘다. 하지만 김정은마저 '正恩'이다. 이거 일부러 이렇게 쓰는 건가?

댓글,

Common Sense | 카테고리 다른 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