聰明不如鈍筆
총명불여둔필
assignment Currents

와이파이 신호로 스마트폰 충전하는 시대 열린다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배터리가 부족할 때는 주변에 와이파이가 빵빵 터진다고 해도 아무 도움도 되지 않습니다. 지금까지는 확실히 그랬습니다.


그런데 만약 와이파이 신호를 전기(전력)로 바꿀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렇다면 배터리가 많은지 부족한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배터리가 계속 필요한지 아닌지를 따지게 될 겁니다.


이렇게 배터리가 필요없는 세상이 그리 멀지 않았는지 모릅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를 중심으로 한 국제 연구팀이 와이파이 같은 전자파를 전기로 바꾸는 정류형 안테나(rectenna)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거든요. 이들은 이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를 통해 발표했습니다.


이 정류형 안테나를 통해서는 와이파이뿐 아니라 블루투수, (전화 통화 연결에 쓰는) 셀룰러, 롱텀에볼루션(LTE) 신호로도 전기를 생산하는 게 가능합니다. 맞습니다. 이렇게 전자파에서 전기를 수확(harvest)하는 기술이 세상에 나온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이번에 MIT 연구진이 이황화몰리브덴(MoS₂)이라는 물질로 만든 정류형 안테나는 아주 유연한(flexible) 게 특징입니다.



정류형 안테나는 기본적으로 '정류기(整流器) + 안테나'입니다. 정류기는 와이파이 신호 같은 교류를 배터리 충전 등에 쓰는 직류로 바꾸는 장치입니다. 원래 정류기를 만들 때는 실리콘(Si)이나 갈륨비소(GaAs)를 썼습니다. 이 두 물질로 정류기를 만들 때는 단단한(rigid) 구조만 가능했기 때문에 널리 활용하기에는 무리인 측면이 있었습니다.


이황화몰리브덴은 원자 3개 정도 두께밖에 되지 않을 만큼 얇습니다. 따라서 이 소재로 정류기를 만들면 두 손으로 구부릴 수 있을 만큼 유연한 정류형 안테나를 만드는 게 가능합니다(아래 사진 참조). 당연히 활용도도 그만큼 올라갑니다.



논문 공저자인 토마스 팔라시오스 MIT 전기공학부 교수는 "교량을 통째로 감싸거나 고속도로 전체를 뒤덮어서 우리 주변 모든 곳에서 '전자 지능(electronic intelligence)'을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해보자. 그러면 이 장치에 어떻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겠는가?"라면서 "우리는 미래 전자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냈다"고 자평했습니다.


이 정류형 안테나는 일반적인 와이파이 신호(약 150㎼·마이크로와트)를 받았을 때 전기를 약 40㎼ (26.7%)정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하기에는 충분한 양이지만 기존 정류형 안테나가 50~60% 정도 정류에 성공한다는 걸 감안하면 아직 효율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연구진은 앞으로 이 효율을 높이려고 기를 쓰겠죠? 이 노력이 결실을 맺게 되면 배터리가 필요없는 스마트폰, 노트북은 물론이고 우리 주변 모든 곳에 자리한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전자 지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될 겁니다. 상상만 해도 정말 근사하지 않은가요?

댓글,

Currents | 카테고리 다른 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