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일은 비가 않오길 바랍니다.
오늘 낮에 한 야구 사이트에서 이런 댓글을 읽었다.
내일은 비가 않오길 바랍니다.
이 코멘트에 넘버링까지 계속해서 달렸다. 물론 세 경기나 우천 취소됐으니 비가 오지 않길 바라는 마음은 충분히 이해가 간다. 하지만 누군가 한 명 쯤 '내일은 비가 안 오길 바랍니다.' 이렇게 고쳐주는 게 그렇게 어려웠을까?
하긴 그 사이트에는 이런 닉네임을 가진 유저도 있다.
아직않끝났다.
#2 그때도 너 않 사랑했어.
Y와 헤어지고 나서 고등학교 때 잠깐(이라고 쓰고 반 년이라고 읽는다) 사귄 O를 만난 일이 있었다.
그녀와 대화를 나누다가 불현듯 이 녀석은 늘 '안'과 '않'을 구분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물었다. "요즘도 ㄶ이랑 ㄴ이랑 구분 못하니?" 대답은 여기 굳이 적지 않아도 될 것 같다.
그러니까 헤어진 지 몇 년만에 만나서도 사귈 때와 마찬가지로 별다른 매력이 없는 여자 아이에게는 별로 하고 싶은 말이 없었다는 이야기다. 물론 그녀의 육체는 여전히 매력적이었지만.
그런데 왜 모두들 '안'이라고 쓰기를 꺼리는 것일까?
#3 '않다'는 안타다.
부정을 나타내는 '안'과 '않'의 구분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사실 '않다'에만 '않'을 쓰고 나머지 경우에는 거의 예외없이 '안'을 쓰면 된다. 간단히 한번 알아 보자.
그러면 ①안/②않 돼!
'않다'가 아니면 '안'이니까 정답은 ①이다. 그러면 안 돼!
하나 더.
그렇지 ①안/②않아.
물론 이 둘 다 말이 되기는 한다. ①로 쓰면 '맞아, 어떤 대상을 hug해!'이런 뜻이 되고, ②로 쓰면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는 뜻이 된다.
우리는 부정을 다루고 있으니 정답은 ②번이다. 그렇지 않아.
#4 '않'은 말이 안 된다.
이래도 모르겠다면 '안'이나 '않'을 빼보자.
그러면 돼!
이건 말이 된다. 말이 되는 건 '안'이다.
그렇지 아.
이건 무슨 소리? 그렇다. '않'을 빼면 말이 안 된다.
#5 띄어쓰기는 붙여 쓰고, 붙여 쓰기는 띄어 쓴다.
요즘엔 예전만큼 맞춤법에 집착하지 않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거슬리는 건 거슬린다. 물론 '않되'라고 써주지 않는 것만으로도 고마운 일이라고 느끼지만.
댓글, 8
우연히 티스토리 로그인하니 이런 게시물이~ 폰트가 참 이쁘네요~ㅋ '않, 안' 요거 참 많이 틀리지요. '낳다' 와 '낫다'와 마찬가지로... 저도 평소에 맞춤법 만큼은 잘 지킨다고 자부하고 있었는데.. 얼마 전, 무의식 중에 '낳네'라고 쓴 적이 있습니다.-_-
'안' 과 '않'의 문제...참 많이도 틀리지요~
전 제일 거슬리는 게 '다르다'와 '틀리다'를 사용하는 법.
+ 가장 헷갈리는 건 '돼'와 '되'의 사용.(이거이 '되어'라고 바뀔 수 있으면 된다고 하는데...) & '에요'와 '예요'의 사용. (가르쳐 주세요~ㅎㅎ)
p.s. 저 울볼의 '각성하라괴수두목'입니다.
그럼 됐어!가 맞는 표현이겠네요.
그래도 국어 꽤나 잘했다고 생각했는데, 무식이 넘쳐흐르는 게 탄로나네요~
'예요'는 결국 '이에요'의 줄임말인가요?(그냥 그렇게 단정하고 써왔는데, 맞는 거였던가?)
근데 저 네모에 별은 뭐죠?@.@
본문 글에 '정답은 몇번이다'하는 부분에서 몇번부분에 네모안에 별로 표시되네요~
원문자 같은 것들 같은데, 제 노트북 화면에서는 안 뜨네요.